본문 바로가기

국제 표준화

국내/국외 CFE 이니셔티브 비교

1. 국내/국외 CFE 이니셔티브 비교표

항목 국내 CF 연합 CFE IEC CFE 해외 24/7 CFE
목표 -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력 소비 탈탄소화
- RE100에서 확장된 CFE 모델 구축
- 전력망 중심의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국제 표준화
- 시간 단위 매칭 지원
- 시간 단위로 전력 소비와 탄소 없는 에너지를 매칭
- 글로벌 기업 중심으로 실행
초점 영역 -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와 전력 소비 감축
- 한국 에너지 환경에 적합화
- 전기 시스템(전력 중심)
- 기술 표준 개발
전력 및 그린 수소 중심
매칭 기준 연간 단위 실적 제출 - 시간 단위 매칭 (15분~1시간) 
- 실시간 데이터 추적
- 시간 단위 매칭 
- 24시간 내내 탄소배출 없는 에너지소비
인정되는
에너지원
- 태양광, 풍력, 소규모 수력, 지속 가능성이 검증된 바이오매스
- 원자력과 CCUS 논의 중
- 태양광, 풍력, 수력, ESS
- 원자력 및 일부 저탄소 발전 기술 포함
- 태양광, 풍력, 수력, 원자력, 바이오매스, 그린 수소 등
추적 방식 REC(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) 기반 - Time-stamped GOs(시간 단위 인증서)
- 스마트 미터, IoT 활용
- Time-stamped GOs 및 실시간 추적 시스템
- AI 기반 최적화 기술 활용
주요 참여 주체 한국 정부, KEPCO, SK, LG, 현대차 등 주요 기업 IEC 회원국, 전력망 운영자, 기술 전문가 - Google, Microsoft 등 글로벌 기업
- UN-Energy 및 국제 기구
국제 표준화
기여
초기 단계로 국제 표준화 논의 참여 필요 전력망 운영 및 탄소 감축 기술 표준 제정 주도 UN, EnergyTag, ENTSO-E 등과 협력하여 국제 표준화 선도
목표 달성
메커니즘
  기술적 표준 개발과 국가별 적용 자발적 참여 및 개별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지원

 

  • 해외의 24/7 Carbon-Free Energy(CFE) 이니셔티브는 유엔 에너지(UN-Energy) 와 구글 등의 협력으로 시작되었으며,
    전력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다양한 에너지원의 활용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.
  • 해외 이니셔티브는 저탄소 발전원으로 원자력을 일부 인정하는 반면, 국내에서는 제외되는 경향이 있다.
  • 국내는 REC 중심으로 운영되며, 해외는 시간 단위 타임스탬프와 GOs를 활용
  • 지속 가능성 기준: 국내는 수력 및 바이오매스의 지속 가능성 검증을 강조하며, 해외는 더 광범위한 탄소 배출 감축 수단을 포함.

 

2. CFE 국제표준 개발 동향 및 특징

IEC(국제전기기술위원회) 에서 주도하는 CFE(Carbon-Free Energy) 표준화 작업은 전기 시스템 중심의 국제 표준 개발을 목표로 함. 전력망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고, 24/7 CFE 개념을 전력 소비와 공급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, 운영적 표준을 정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.

  • 주요 목표:
    • 탄소 배출 감소: 전력 생산, 분배,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최소화.
    • 24/7 CFE 구현 지원: 시간 단위로 전력 소비를 탄소 없는 에너지로 충당하는 매커니즘 정의.
    • 국제 표준 조화: 전력망 운영과 관련된 기술적 정의 및 요구사항을 글로벌 표준으로 통합.
  • 포괄하는 범위:
    • 전기 시스템에서의 탄소 배출 감축 메커니즘.
    • 전력 소비와 생산의 시간 단위 매칭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프레임워크.
    • 에너지 속성 인증서(EAC) 시스템과의 연계, 예를 들어 Time-stamped GOs 도입.
  • 중심적 접근법:
    • 기술 중립성: IEC의 표준은 특정 에너지원에 국한되지 않고, 다양한 탄소 없는 전력원(태양광, 풍력, 수력, 원자력 등)을 포함.
    • 전력 중심: IEC의 초점은 전기를 활용하는 탄소 감축 메커니즘으로 제한되며, 열에너지, 가스, 수소 등은 IEC의 표준 범위에서 제외될 수 있음.
    • 실시간 데이터 활용: 스마트 미터, 에너지 관리 시스템, IoT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력망 관리와 추적 시스템 표준화.
  • 기술적 특징:
    • 전력망 내에서 실시간 데이터 통합 및 인증 절차의 투명성 강화.
    • 에너지 저장 시스템(ESS) 및 분산형 전원(DER)과의 통합.
    • 지역적 및 시간적 매칭 기준 정의.

 

 

출처: ChatGPT를 활용하여 생성된 내용 (OpenAI)

 

'국제 표준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EC CFE 국제 표준화 관련 용어 정리  (0) 2024.09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