🎯데이터 1도 모르는 이들을 위한 최소한의 마케팅 데이터 공략법
• 노출 (Impression ): 광고가 보여진 횟수
• 도달 (Reach) : 광고를 본 사람의 수
• 한 사람이 같은 광고를 3번 봤다면, 노출 수는 3, 도달은 1
- 빈도 = 노출 수 / 도달 수
고관여 상품 : 구매까지 고민이 많이 필요한 상품
저관여 상품 : 구매까지 고민이 많이 필요하지 않는 상품
cpm (Cost Mille or 1000 impression)
우리 광고가 얼마나 많이 보여졌는지를 비용으로 나타낸 데이터
cpm= 광고비 / 노출수 * 1000
노출은 광고비에 비례해 늘어남
하지만 광고의 이미지, 문구 세팅을 어떻게 하냐에따라 같은 비용으로도 더 만힝 적게 보여지게 할 수 있음
여러 광고의 광고비를 가각의 노출수로 나누면 가 광고를 동일하게 노출시킬떄의 광고비가 얼마나를 쓰였는지 계산이 가능하며, 같은 광고비를 쓰더라도 어떤 광고가 더 노출되는지도 파악할 수 있음 = 어떤 광고가 더 효율적인지
cpm이높다 = 비싼 광고다
CTR 클릭률
광고를 봤을때 얼마나 클릭을 했는지를 나타냄 클릭수 / 노출수
광고클릭은 광고가 (광고를 본 사람의) 호기심 유발에 성공해 사이트 바움ㄴ까지 가능하게 한 것으로 해석 가능
어떤 광고가 클릭을 더 유발한 것인지 동등하게 비교 가능
CPC 클릭 당 비용
한 번 클릭에 드는 비용 광고비 / 클릭수
광고의 효율이 좋다(높다) 라는것은
같은 광고비로 더 좋은(많은) 성과를 얻거나, 더 적은 광고비로 비슷한 성과를 얻어 내는 것
효율이라는 개념을 통해 광고를 잘 해냈는가를 따져볼 수 있다.
광고의 효율은 광고의 목적이 무어이냐에 따라 다른 지표로 따져봐야 한다
branding (보여주는 거시, 인지하는 것) => cpm 등
conversion(행동유도, 전환유도) => cpc 등
도메인 지식 ( 해당 산업의 노출부터 구매완료, 행동완료까지의 사용자 루트, 업계 용어 등)
광고의 목적이 뭔지 ( 컨텐츠 소비인가 아니면 구매완료인가 등)
PV
페이지가 읽인 횟수, 고객의 관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숫자
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게 하려면 제품 소개 페이지를 우선 읽어야함
페이지가 얼마나 읽혀는지를 측형하면
-광고 등의 유입 링크 성과와 페이지가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음
-다른 지표 (이탈류, 방문자수, 구매전환 등)과 함께 분석해야 개선점 도출이 가능
UV (Unique Visitor)
순수 방문자 수 , 같은 사용자가 여러번 방문해도 1명으로 카운트
uv가 늘어난다 = 신규 사용자를 많이 데려왔다.
PV는 한명이 여러 페이지를 읽거나 같은 페이지를 반복해서 읽어도 증가하기에 사용자 수 증가. 감소를 판단하는 것이 어려움
사용자 단위로 접근해보자
-특정 페이지로 유입된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를 보는 등의 추가 활동 여부를 알 수 있음
- 다른지표 (이탈율, 방문자 수 등)와 함께 분석하면 페이지의 개선점 도출이 가능
-신규/재방문 사용자를 구분해 유입의 성과와 서비ㅡ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음
PV vs UV
CVR (구매) 전환율 . 구매 / 클릭
페이지를 본 고객이 얼마나 구매하게 했는지를 나타냄
광고를 보고 들어온 잠재고객을 구매까지 잘 설득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
통상적으로 전환이라 하면 구매 전환을 뜻하나 다운로드, 링크 클릭, 장바구니 담기, 회원가입, 이메일 주소 확보 등 원하는 고객의 행동은 모두 전환으로 볼 수 있음
구독자수에 가장 영향을 준 요소는 무엇인가
어떤 소스매체(채널)로 부터 많이 유입이 됐는가 (GA4) IG - 2팀 5팀, FB - 3,4,5팀
잘된 팀은 왜 잘됐는가?
<오마카세 데이터 분석>
잘된팀 2팀
스크롤 히트맵을 보아 상세페이지가 잘 되어있나보다 2조는 상세페이지 수정이 없었다
각각의 페이지별로 무엇이 찍혔는가 > 획득
팀별로 페이지를 보면서 특이점? 유입이 많이된 이유?를 찾아낼 수 있다면
구독잘 된 상세페이지 왜 많이보는지 확인(일반화) - 스크롤확인 유입경로 , 뎁스 확인
~~~한 이유로 구독이 잘 됐을것이다 - 고양이,
저관여 상품
오마카세 분석에 꼭 들어가야할 내용
1.가장 성과가 좋은팀, 안좋은팀? 그 성과에 대한 기준은?
2. 좋은 팀은 왜 좋았을까? 안좋은 팀은 뭐가 안좋았을까?
3. 그 이유는?
4. 성과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? 구체적인 개선사항을 제안해주세요
2팀 -
'성동1기 전Z전능 데이터 분석가 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전Z전능 DA] Day22 - SQL 기초 이해2 (0) | 2023.11.14 |
---|---|
[전Z전능 DA] 오마카세 데이터 분석 (0) | 2023.11.14 |
[전Z전능 DA] Day20 - 비즈니스 모델 분석 및 법률 이슈의 이해 (1) | 2023.11.10 |
[전Z전능 DA] Day19 - SQL 기초 이해 2 , SQL 기본 개념 (0) | 2023.11.09 |
[전Z전능 DA] Day18 - 엑셀 데이터 , SQL 기초 이해 1 (0) | 2023.11.08 |